2025년 6월 27일, 정부는 '가계부채 관리 강화 방안'으로 불리는 6.27 부동산 대책을 발표했습니다.
이 대책은 실수요자 위주의 주택시장 재편을 목표로 하고 있지만, 신혼부부나 생애최초 구입자에게는 실질적인 대출 한도 축소라는 부담으로 다가오고 있습니다.
특히 신혼부부가 많이 이용하는 디딤돌대출과 버팀목전세대출은 한도와 조건이 모두 강화되었고, 정책자금 공급 자체도 줄어들어 체감 여파는 더 큽니다.
* 신혼부부 디딤돌대출, 얼마까지 가능할까?
6.27 대책 이전에는 최대 4억 원까지 가능했던 디딤돌대출이,
지금은 3억 2천만 원으로 한도가 줄었습니다.
신혼부부 디딤돌대출 한도:
기존 4억 → 3억 2천만 원
신생아 특례 디딤돌대출:
기존 5억 → 4억 원
대출 조건도 까다로워졌습니다.
시세 5억 원 초과 아파트는 디딤돌대출 불가하고,
연소득 7천만 원 이하 신혼부부만 신청할 수 있습니다.
게다가 **LTV(담보인정비율)**도 기존보다 낮아졌고,
**실거주 목적 전입 의무(6개월 이내)**가 생겨 **투자 목적 매입(갭투자)**은 사실상 불가능해졌습니다.
💡 한 줄 요약:
신혼부부 디딤돌대출, 저금리는 유지되지만 한도는 줄고 조건은 까다로워졌습니다.
- 버팀목전세대출도 줄어듭니다
전세자금 마련을 위해 가장 많이 활용되는 버팀목대출도 마찬가지입니다.
수도권 한도:
기존 3억 → 2억 5천만 원
지방 한도:
기존 2억 → 1억 6천만 원
뿐만 아니라, 전세보증금의 보증비율도
기존 90% → **80%**로 낮아져 실제 대출 가능 금액도 줄어들었습니다.
게다가 정책자금 자체 공급량도 25% 줄어들고,
심사도 까다로워져 신청부터 실행까지 시간이 더 걸릴 수 있습니다.
🏠 주담대는 최대 6억… 더 이상 못 넘어요
6.27 대책의 핵심 중 하나는
수도권 및 규제지역 내 주택담보대출 한도 6억 원 제한입니다.
예전엔 고소득자나 고가주택 구매자의 경우
소득이나 담보가치에 따라 10억 이상도 가능했지만,
지금은 조건이 아무리 좋아도 무조건 6억까지만 가능합니다.
생애최초 구입자 LTV도 80% → 70%로 하향,
여기에 6개월 이내 전입 의무까지 부과되어
전세 끼고 사는 갭투자 수요는 사실상 막혔습니다.
- 정리합니다 -
항목 이전 6.27 대책 이후
- 디딤돌대출 (신혼부부) 4억 3.2억
- 신생아 특례 5억 4억
- 버팀목대출 (수도권) 3억 2.5억
- 버팀목대출 (지방) 2억 1.6억
- 주담대 한도 소득·담보 따라 최대 10억 이상 가능 최대 6억 고정
- 생애최초 LTV 80% 70%
- 전입 의무 없음 6개월 내 실거주 필수
이번 6.27 대책은 겉으로는 실수요자 보호 정책처럼 보이지만,
정책자금 한도와 조건이 동시에 강화되면서
정작 실수요자들이 체감하는 부담은 더 커진 상황입니다.
특히 신혼부부, 생애최초 주택구입자, 자녀가 있는 가정이라면
자금 계획을 다시 한번 점검해 보셔야 합니다.
내가 받을 수 있는 디딤돌대출이나 버팀목대출,
지금은 얼마까지 가능할지 꼭 확인해 보세요.